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줌 지식 사전

스승의 날의 유래, 알고 계셨나요?

by _별가루_ 2025. 5. 13.

대한민국의 스승의 날은 매년 5월 15일입니다. 이 날은 우리가 학창 시절 큰 영향을 받은 은사님께 감사를 전하고, 교육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만드는 의미 있는 날이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있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스승의 날이 조선의 위대한 군주, 세종대왕의 탄신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하필 5월 15일이 스승의 날로 지정되었을까요?
이 특별한 날짜가 단순한 우연일까요, 아니면 깊은 뜻이 담겨 있는 걸까요?


📜 스승의 날의 시작과 5월 15일로의 변경

스승의 날은 1963년, 청소년적십자(RCY) 단원들이 병원에 입원 중인 선생님을 찾아가 위문활동을 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처음에는 5월 26일이었고, 이후 정부 차원에서 날짜의 상징성을 고려해 1965년부터 5월 15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세종대왕의 탄신일이기 때문입니다.
세종대왕은 조선 제4대 임금으로, 백성을 위한 정책과 개혁을 이끌며 가장 이상적인 지도자이자 교육자, 즉 스승의 상징으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 세종대왕, 민족의 스승

세종대왕(1397년 5월 15일 ~ 1450년)은 훈민정음, 즉 한글을 창제해 백성이 스스로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언어 체계 창제를 넘어, 지식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열어준 교육 혁명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과학기술(자격루, 측우기 등), 음악(정간보 창안), 농업(농사직설 편찬) 등 다방면에서 백성을 위한 지식을 제도화하고 보급한 진정한 교육자였습니다.
그의 통치는 ‘교육을 통한 나라의 발전’이라는 가치를 기반으로 이루어졌고, 지금도 그는 '백성을 가르친 임금'으로 기억됩니다.


🎓 스승의 날이 5월 15일인 이유

스승의 날을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로 지정한 것은 단순한 기념의 의미를 넘어,
교육의 중요성과 정신을 기리는 상징적 결정입니다.

선생님은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존재가 아닙니다.
학생의 인생을 방향 짓고, 사회의 뿌리를 만들어 가는 현대 사회의 스승입니다.
그런 점에서 백성을 가르치고 변화시킨 세종대왕의 업적은 오늘날 교사의 역할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렇듯 스승의 날에 선생님께 감사 인사를 전하는 것은 곧,
우리 민족이 가진 배움과 가르침의 철학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일입니다.


💡 마무리하며

우리는 매년 스승의 날을 맞이하며 ‘감사합니다’라는 짧은 말로 고마움을 표현합니다.
하지만 그 말 뒤에 담긴 세종대왕의 뜻과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를 이해하고 나면,
단순한 감사의 인사가 더욱 깊은 울림을 갖게 됩니다.

올해 스승의 날엔, 은사님께 인사를 드리는 동시에 세종대왕이 남긴 가르침의 의미도 함께 되새겨보세요.
그것이 진정한 ‘배움의 날’을 기념하는 가장 아름다운 방법일 것입니다.

 

 

 

#5월기념일 #스승의날의유래 #세종대왕의뜻 #세종대왕생일 #스승의날이야기 #한글의날아님주의 #교육기념일 #역사속오늘